프론트엔드 개발자
류준열

게시글 전체 보기

사파리에서 클립보드 복사 이슈

`navigator.clipboard.writeText`는 웹 api의 일부로 복사 기능을 제공한다. 비동기적으로 동작하면서 Promise를 반환한다. 사파리에서는 보안상의 이유로 유저 액션을 통해서만 `navigator.clipboard.writeText`가 동작한다.

SSR에서 고려해야 할 것들

next는 SSR을 할 수 있는 리액트 프레임워크이다. JSX문법으로 렌더링 할 코드를 작성하면, next 서버에서 html을 만들어주고 그 이후 hydration이 진행되면서 리액트(CSR)이 진행된다.

자동저장 기능 구현시 고려해야 할 것

지원선발 시스템에서 제출한 설문지의 모든 답변이 초기화 되는 이슈가 있었는데, 재현이 되지 않았다. 나중에 알고보니 다중탭 문제였다. 또한 setInterval이 react 라이프 사이클과 맞물려 작동하지 않는 이슈도 있었다.

도메인 주도 설계란 무엇인가? (Domain Driven Design Quickly)

전 회사 CTO 님과의 스터디 교재이다. 백엔드 개발자들은 필참이였고 나머지는 선택참여였다. 동료 백엔드 개발자분이 개발자의 마음가짐을 바로세우는데 도움이 되는 스터디라고 추천해주셔서 나도 중간부터 참여했다.

블로그 제작기

티스토리에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지만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쌩으로 만든 블로그 하나는 갖고 있어야 하는것 아닌가? 하는 생각에 블로그를 만들게 되었다.

메모이제이션이 필요한 순간

메모이제이션은 자주 쓰이는 값(or 함수)를 캐싱하여 리렌더링시 새로 만들지 않게 하는 것이다. 리액트에서는 `useMemo`, `useCallback`, `memo` 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데 여기서 굳이 설명하지는 않는다.

UI 시스템

회사에서 랜딩페이지를 자주 업데이트 하고 협업하는 디자이너분은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아닌, 마케팅팀의 브랜드 디자이너였다. 매번 높은 자유도 떄문에 컴포넌트 재사용을 생각할 수 없어서 어느순간 유지보수성을 생각하지 않고 작업하였다. 그렇게 1년간 작업하다가 마케터분들을 설득했다.

바탕화면 구현을 위해 Draggable.tsx 만들기

Drag and Drop 기능을 만들기 위해 라이브러리들을 검색해봤는데, 바탕화면을 구현하기에 적당한 라이브러리가 없었다. 그래서 직접 만들기로 했다.
use client 컴포넌트 네트워크탭에서 확인

Next App router에서 use client가 CSR을 뜻하지는 않는다.

분명히 서버컴포넌트로 렌더링되는건 아닌데,, use client를 사용하면 CSR로 된다는 뜻이 아닌가? 하고 공식문서를 보았다. 공식문서에서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use client) 가 어떻게 렌더링 되는지 잘 작성되어 있다.
profile

프론트엔드 개발자 류준열 이력서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개발자 류준열입니다. 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더 나은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개발자가 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